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성장을 하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선택적으로 일정한 방식으로 행동을 취하게 된다. 그것은 하나의 경향성을 이루게 되어 자신이 일하고 있거나 생활하고 있는 환경에서 편안한 상태로 자연스럽게 그러한 행동을 하게 된다. 우리는 그것을 행동 패턴(Behavior Pattern) 또는 행동 스타일(Behavior Style)이라고 한다.
READ ME 360° TOOL 개요

진실을 알리려는 사람은 누구보다 위험해진다
때로는 침묵하지 않으면 침묵을 당한다
하지만 진실을 말할 수 없다 해도 진실을 알고 있어야 한다
남들에게는 진실을 말하지 못하더라도
결코 자신에게 거짓을 말해서는 안 된다
프랜시스 하딩 (Frances Hardinge)
READ ME 360 TOOL의 기본, 내가 바라보는 ‘나’와 남이 바라보는 ‘나’의 차이 인식
- 자기인식의 정확한 정의는 보기보다 복잡하지만, 자신을 명확하게 보는 능력이 핵심입니다. 즉, 자신이 어떤 사람이고, 다른 사람들은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자신이 주변 세상과 어떻게 어울리는지 아는 것입니다.
(Tasha Eurich, Internal & External Self-awareness, 2018)
진단을 통해 올바른 자기인식이 필요한 이유는?
- 최근의 대한민국은 경이로운 소비문화와 ‘난 멋지게 살고 있어’라고 외치는 다양한 SNS에 둘러싸여 살고 있습니다. 마치 특별하지 않으면, ‘잘못 살고 있다’라는 인식이 생길 수 있고, 불안함을 느끼거나 우울함을 느끼는 것은 인간이 가진 기본적인 감정임에도 불구하고, 그 감정이 부정적이라는 이유로, 남에게 보여 줄 수 없다는 이유로 숨기려 하고 있습니다. SNS에 접속해서 30분간 타인들이 올린 특별한 경험들을 구경 해보면, 여러분의 기분은 어떠할 것 같은가요?최근 사회 속에서 자기인식이 어려운 이유는 긍정적 요인, 특별한 경험들만이 공유된다는 부분 때문입니다. 올바른 자기인식이란, 개인의 장/단점을 자신이 바라보는 관점과 타인/사회가 바라보는 부분까지 인식하고 있어야 하는 것 입니다.
다양한 심리학 연구를 기반으로 한 검사수단
- READ ME 360 진단은 다양한 심리학 연구들을 바탕으로 자기인식을 높이기 위한 보조 검사 수단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정신분석의 기반이 된 ‘프로이드’, ‘칼 융’ 부터, 행동 심리학의 ‘파블로프’, ‘스키너’, 인본주의 심리학의 ‘칼로저스’,’매슬로우’ , 최근의 성격 심리학까지, 다양한 분야의 이론들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당신 자신과 진실로 마주하며 자기인식의 과정을 시작해 보시기 바랍니다.

READ ME 360° 진단 구성 및 주의사항
2. Big 5 (콜롬비아대학 심리학자 P.T.Costa & R.R.McCrae, 1976)
현재 세계의 성격 심리학자들에게 가장 신뢰를 받고 있는 검증된 이론. 크게 성격을 크게 5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바라보는 이론으로, 학계에서 논의된 5요인 모형(FFM; Five-Factor Model)을 기반으로 한다. 현재 까지도 가장 많이 연구되는 성격검사로 통계학적으로 가장 신뢰도가 높으며, 다양한 성격에 대한 요인을 분석할 수 있다.
3. 진단의 한계성과 위험성
사람은 누구나 그 존재 자체로서 ‘특별한 존재’ 입니다. 본 설문을 통해 ‘누구는 좋은 성격을 가진 사람이고 누구는 나쁜 성격을 가진 사람이다’ 라고 인식하지 말아 주시고, 자신을 이해하는 하나의 관점임을 명심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진단이 다양한 심리학 연구들을 바탕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설문을 제작하고, 진단하는 과정에서의 오류는 반드시 포함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하기 때문에 설문을 절대적으로 맹신하거나, ‘나는 이런 사람이다’라고 정해 놓는 것은 위험합니다.